계산기 만들기
이번에는 계산기를 만들어 보자.
파이썬에서 GUI 즉, 단순 터미널에서 결과값을 보는 것이 아니라 윈도우 창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결과 또한 윈도우 창에서 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내용은 nomadlife 님의 블로그 (https://opentutorials.org/module/2980/17973) 를 토대로 작성이 되었다.
우선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 해 보자. 확장자는 py 이다.
from tkinter import * from tkinter import ttk # 함수 위치 (해당 키를 눌렀을때 작동 명령) root = Tk() root.title("Calculator") root.geometry("600x400") # 계산기 창의 위치 (입력 및 출력 숫자 표시창) # 숫자 버튼의 위치 root.mainloop()
여기서 맨윗줄의 선언문을 해석 해 보면 tkinter 라는 모듈에서 ttk 라는 함수를 가져와 라는 뜻이다. 여기서 함수명이 길면 함수명 뒤에 as 를 부쳐서 좀 더 짧은 본인만의 함수명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 해 보면 분명히 위에서 * 를 이용해 모든 함수를 가져오라는 명령을 선언하였는데 굳이 다시 ttk 라는 함수를 가져오라는 명령을 다시 선언하는 이유는 파악하지 못했다.
이것을 찾아보고자 여기저기 인터넷을 뒤져 보았으나 아직 해당 정보를 찾지 못해서 추후 이유를 알게 되었을때 다시 설명 해 보도록 할 예정이다.
root = Tk() 은 Tk() 을 root 에 할당하라는 것인데 재미있는 것은 만일 아래와 같이 코딩을 바꿔준다면,
Tk().title("Calculator") Tk().geometry("600x400") Tk().mainloop()
창이 3개가 뜬다. 즉 Calculator 라는 이름을 가진 창과, 600 x 400 사이즈의 창 그리고 mainloop 라는 창이다.
이 부분도 왜 이렇게 되는지 원리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나 내용을 찾지 못했다. 이런식으로 파헤치면서 공부를 한다면 언어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연구하는 것이 되는 것 같아 더 깊게 들어가지는 않도록 하겠다.
Categories
Python
Wizzen2801
